반응형
안녕하세요!! <연구안전 서포터즈> 5기 홍보 분야 nerdite입니다. 오늘은 드디어... 연구안전에 대한 양질의 정보를 드리는 첫 기회가 왔습니다!! 연구실 안전법에 대한 궁금증을 같이 풀어보아요!!
연구실과 사업장의 차이점
연구실 | 사업장 | |
유해물질 취급 범위 | 다품종 소량 | 소품종 다량 |
위험 예측 가능성 | 불가 | 가능 |
규모 | 소규모, 미숙련 근로자 | 대규모, 숙련 근로자 |
위치 | 도심 | 도심 외곽 |
'연구활동'의 정의
연구활동이란,
1)사물, 기능, 현상 등에 관하여 새로운 지식을 획득하거나 기존 지식을 활용하여 새로운 지식을 찾아내기 위한 창조적인 노력 및 탐구
2)연구개발 과정에서 직접 필요한 시험/측정/분석, 기계/기구 장치의 구업/설치 및 건설, 동식물의 육성, 문헌조사 등의 활동
3)연구활동과 관련된 연구용 기자재 운용, 도면의 작성, 가공조립, 실험/검사/측정 등의 연구지원 업무, 실험실습 교육
한 마디로, 새로운 지식을 축적하기 위한 활동이면 거의 모두 연구 활동으로 포함시키는 것 같습니다.
보호구 종류
보호구의 종류와 사용 목적을 알아보겠습니다. 괄호 안 내용은 제가 직접 찾아서 넣은 내용입니다. 이 참에 용어 차이까지 알아가면 좋겠죠?
보안경 | 날아오는 물체에 의한 위험 또는 위험물질의 비산(날아서 흩어지는 것)에 의한 위험으로부터 눈을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 |
보안면 | 날아오는 물체에 의한 위험 또는 위험물질의 비산에 의한 위험으로부터 안면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 |
안전모 | 물체의 낙하(높은 데서 낮은 데로 떨어짐. 물체 기준), 비래(날아서 (대상에게로) 옴) 및 추락(높은 데서 떨어짐. 사람 기준에 따른 위험을 방지 또는 경감하거나 감전에 의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 |
안전화 | 가. 물체의 낙하, 충격 또는 날카로운 물체에 의한 위험으로부터 발 또는 발등을 보호하거나 물, 기름, 화학물질 등으로부터 발을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 나. 전기로 인한 감전 또는 정전기의 인체 대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 |
화학물질용 안전장갑 | 화학물질이 피부를 통하여 인체에 흡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 |
방진마스크 | 분진, 미스트(mist: 대기 속에 떠다니는 미립자 가운데 '액체'로 된 것) 또는 흄(fume: 화학적 공정 과정에서 일어나는 휘발성 가스 물질. 미세한 '고체' 입자로 이루어져 있다)이 호흡기를 통하여 체내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 |
방독마스크 | 유해물질 등에 노출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착용 |
차광 및 비산물 위험방지용 보안경 | 눈에 해로운 자외선, 적외선 및 강렬한 가시광선 또는 비산물로부터 작업관리자의 눈을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 |
국제 취급주의 문자=>GHS 경고표지 그림문자
오늘의 콘텐츠는 여기까지입니다. 다음번에 더 좋은 콘텐츠로 찾아뵙겠습니다. 그럼 안녕!!!
반응형
'학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구안전 서포터스]국립과천과학관 연구실안전체험관&SAFI 소개 (1) | 2023.06.29 |
---|---|
[연구안전 서포터스]'연구실 안전 유공자 표창'이란? (0) | 2023.06.28 |
[연구안전 서포터스]'연구실안전관리사'란? (0) | 2023.05.13 |
[연구안전 서포터즈]연구실 안전 대국민 공모전 개최 안내 (0) | 2023.04.29 |
[연구안전 서포터스]LMO SAFETY 기자단 모집 안내: 카드뉴스 +)지원 팁 (0) | 2023.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