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연구안전 서포터스> 5기 홍보 분야 nerdite입니다. 오늘은 황동 소감을 제외하고는 마지막 콘텐츠가 되겠네요. 활동을 열심히 하고자 다짐했지만, 시험 기간과 동아리 활동이 겹쳐 성실히 하지 못한 것 이 자리를 빌려 반성합니다. 다행히도 저희 과에서 주로 담당하고 있는 '동물실험'을 주제로 마지막 콘텐츠를 만들게 되었습니다.
'동물실험'은 생명을 다루는 만큼 그 무엇보다도 안전이 중요한데요. 동물실험을 하는 연구실에서는 어떤 규칙을 지키고 있을지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위 사진은 '실험동물 취급 연구실 안전관리 가이드라인'의 표지인데요! 자료는 아래 링크에서 내려받으실 수 있습니다. 파일 용량이 커서 여기에 업로드가 안 되네요ㅠ
https://www.labs.go.kr/brdthm/boardthmView.do
아래는 가이드라인 관련 홍보용 카드뉴스입니다. 참고 바랍니다. 카드뉴스 아래애는 가이드라인에서 일반인들이 궁금해할 만한 내용을 정리해 놓았습니다.
실험동물 vs 동물실험
실험동물: 동물실험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척추동물
동물실험: 교육/시험/연구 및 생물학적 제제의 생산 등 과학적 목적을 위하여 동물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실험 또는 그 과학적 절차
실험'동물'이면 동물, 동물'실험'이면 실험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용도에 따른 실험 동물들
- mouse: 가장 많이 사용하는 실험동물. 인간의 DNA와 약 80% 일치하며, 짧은 생애주기와 우수한 번식능력을 갖는다.
- rat: mouse 다음으로 많이 사용하는 실험 동물. 당뇨병, 고혈압 등 심혈관 질환 연구에 활용된다.
- hamster: 종양과 조직이식 등 암, 세포유전, 충치 연구 등에 사용된다.
- guinea pig: 영양, 면역계 기능, 감염성 질병 등의 연구에 활용된다.
- 원숭이류
- 토끼: 혈청항체생산, 약물 스크리닝, 발열성 시험 및 동맥경화증 연구에 활용된다.
소독제 종류별 특성 및 사용 방법
소독제 | 장점 | 단점 | 실험실 사용 범위 |
알코올 | 낮은 독성, 부식성 없음, 잔류물 적고, 반응속도가 빠름 | 증발속도가 빨라 접촉시간 단축, 가연성, 고무 플라스틱 | 피부소독, 작업대 표면, 클린벤치 소독 |
염소계 화학물(액상) | 넓은 소독범위, 저렴한 가격, 저온 살균 효과 | 피부/금속에 부식성, 빛/열에 약하며 유기물에 의해 불활성화됨 | 폐수처리, 표면, 기기 소독, 비상 유출사고 발생 시 |
요오드 | 넓은 소독범위, 활성 pH 범위가 넓음 | 아포에 대한 가변적 소독효과, 유기물에 의해 소독력 감소 | 표면 소독, 기기 소독 |
과산화수소 | 빠른 반응속도, 잔류물이 없음, 독성이 낮고 친환경적임 | 폭발 가능성(고농도), 일부 금속에 부식 유발 | 표면 소독, 기기 및 장비 소독 등 |
3R 법칙
- Replacement: 동물실험을 수행하지 않고도 연구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 이것으로 동물실험을 대체하여야 한다.
- Reduction: 실험에 사용되는 동물의 수를 최소한으로 줄이는 방안을 고려하여야 한다.
- Refinement: 실험계획서, 실험방법 및 기술 등을 개선하여 동물실험의 필요성을 줄이는 동시에 동물에 가해지는 통증이나 고통을 감소시켜야 한다.
오늘의 콘텐츠는 여기까지입니다. 다음번에 더 좋은 콘텐츠로 찾아뵙겠습니다. 그럼 안녕!!!
'커리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구안전 서포터스]활동 소감 및 개선 의견 (2) | 2023.11.28 |
---|---|
[연구안전 서포터스]연구실 안전주간이란?: 연구안전 정책에는 무엇이 있을까? (0) | 2023.11.01 |
[연구안전 서포터스]일상점검으로 연구실 안전 UP! 연구실 안전 캠페인 (0) | 2023.09.08 |
[연구안전 서포터스]연구실 안전 유공자 표창 (0) | 2023.08.03 |
[연구안전 서포터스]'연구안전 서포터스 및 LMO SAFETY 기자단 간담회' 참석 후기 (1) | 2023.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