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RDITE의 인생 기록

사용된 모든 저작물의 저작자를 존중합니다.

NERDITE 자세히보기

정보

논문 읽을 때 추천: notebookLM

nerdite 2025. 1. 31. 18:38
반응형

오늘은 AI로 똑똑하게 논문 읽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chatGPT도 좋은 선택이지만, 무료로 더 좋은 사이트가 있다.

NotebookLM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기본적으로 내가 source를 업로드하면 그것에 대한 질문에 답을 제공한다. 

  • 내가 source로 업로드한 문헌에만 근거하여 답을 제공한다.
  • 한 노트북 당 50개의 source로 개수가 제한되어 있으나, 노트북을 만드는 것은 일일 당 제한이 없다.
  • 문헌을 업로드했을 때 종합하여 짧은 요약문을 제공하고, 문헌 내용을 기반으로 한 추천 질문을 제공한다(주로 굉장히 개괄적인 질문).

notebookLM 실사용 이미지

UI는 크게 ①출처 ②채팅 ③스튜디오로 나뉜다.

  1. 출처: source를 추가할 수 있다. 스튜디오의 텍스트를 출처에 추가할 수도 있다.
  2. 채팅: 노트북의 제목과 이모지를 임의로 생성한다(이미지의 큰 글씨와 그 위). 그 아래에 요약문을 제공한다. source들의 내용을 바탕으로 질문을 제공한다. 
  3. 스튜디오: AI 남녀 성우의 심층 분석 대화를 제공한다(영어). 노트에는 학습 가이드, 브리핑 문서, FAQ, 타임라인을 제공하며, 버튼을 누르면 그에 해당하는 노트가 생성된다. '메모 추가' 버튼을 누르면 내가 직접 텍스트를 추가할 수 있고, 그것을 출처에 추가할 수 있다.

문헌의 이미지를 분석하는 것은 아직 어려움이 좀 있는 것 같지만, 논문을 쉽게 요약하는 데에는 이만한 도구가 없다. 한 노트북을 프로젝트로 묶어 발표를 준비하거나 연구 프로젝트로 바로 이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실제로 출처의 내용에만 기반한다고 했으나, 기본적인 전공 지식을 웹에서 찾아와서 덧붙이기도 한다. 하지만 아예 다른 내용에는 문헌에 없다며 답하지 않는다.

반응형